반응형
Spring-boot 실행후 http://localhost:8080/h2-console 로 접속가능
H2 DB는 웹브라우저의 local storage같은 걸 사용하는 듯 한번 저장된 데이터가 계속 캐쉬됨, DB URL, user가 바껴도 계속 캐쉬됨
https://developerhive.tistory.com/34
스프링부트 H2 데이터베이스
H2는 RDBMS(관계형데이터베이스)입니다. 매우 빠르고작은 크기의 데이터베이스라고 보시면 됩니다. 주로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용도로 쓰이며,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할수도 있습니다. 매우 빠른 오픈 소스..
developerhive.tistory.com
반응형
'd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racle VS mysql (0) | 2020.02.26 |
---|---|
mysql query tip (0) | 2020.01.31 |
mysql.*, information_schema.* (0) | 2019.09.06 |
daily check query (mysql & oracle) (0) | 2019.07.17 |
mySQL local 설치 및 실행 (on windows) (0) | 2019.02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