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stash: to store or hide something, especially a large amount
git stash는 branch에 따라 달라지지 않고 전체적으로 공유됨
- git stash (=git stash save)
- git stash save [stash명, 기본이름-stash@{0}] : 이름 지정해서 저장하려면 git stash save를 써줘야함
- git stash list
- git stash apply [stash명, 기본이름-stash@{0}] : 가장 최근 stash 가져와 merge하되 다시 staged상태까지 복원하진 않음
- but git stash apply localTemp[stash명] 실행하면 locallTemp is not a valid reference 에러나고 git stash apply stash@{0} 이렇게 해야만 정상동작함
- git stash apply --index : staged상태까지 복원하려면 --index 붙어야함
- git stash drop [stash명, 기본이름-stash@{0}] : 가장 최근 stash 제거
- git stash clear : stash전체 다 비움
- git stash pop : git stash apply + git stash drop 인듯
- git stash show -p | git apply -R : merge한 stash 되돌리기 (unapply 개념)
- git stash --patch : 대화형 프롬프트가 뜨며 변경된 데이터 중 저장할 것과 저장하지 않을 것 지정가능
반응형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 commit 취소 (0) | 2022.05.20 |
---|---|
git author/committer, owner/uploader/reviewer 차이 (0) | 2022.05.17 |
git ignore (0) | 2019.09.03 |
git bash shorcuts: copy(ctrl+insert), paste(shift+insert) (0) | 2019.06.11 |
git rebase, cherry-pick을 잘 이해해보자 (0) | 2019.06.11 |